본문 바로가기
  • “전문가의 손길이 자녀의 Career에 날개를 달아 드립니다.”

교육일반176

Sequoia Scholar Research Program과 AP Capstone Sequoia Scholar Research Program과 AP Capstone  미국 대학 입시 준비를 하거나 미국 대학 진학을 꿈 꾸는 학생들이라면 미국의 고등학교에서 제공하는 AP (Advanced Placement)에 대하여 잘 알고 있다. 하지만 AP Capstone 프로그램에 대해서는 잘 모르는 경우가 많다. AP Capstone 프로그램은 미국의 College Board에 의해 개발되어, 2014년에 처음 선보이게 되었다. 이 프로그램은 학생들이 심화된 연구, 분석, 협업 및 프레젠테이션 기술을 개발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을 목표로 한다. 가장 두드러진 특징은 AP Seminar와 AP Research라는 두 가지 핵심 과목을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다는 것이다.  AP Capstone의 목적은.. 2024. 9. 19.
연구 (Research)란 도대체 무슨 뜻일까요? 연구 (Research)란 도대체 무슨 뜻일까요? 대학 입시를 앞두고 있는 많은 고등학생들이 연구에 관심이 있습니다. 하지만 '연구'라는 용어는 도대체 무슨 뜻일까요? Sequoia Research Scholar Program에서는 한국의 국제 학교 학생뿐 아니라 외국 고등학교에서 조기 유학을 하고 있는 학생들이 유전공학에서 미술사, 투자이론, 선형수학, 국제 관계에 이르기까지 모든 분야에 대한 연구를 수행해 왔습니다. 서로 완전히 다른 분야이지만 “연구”라는 포괄적인 용어 아래 모두 함께 모여 있습니다. 그렇다면 무엇이 이렇게 다양한 종류의 연구 프로젝트를 하나로 묶여져 Sequoia Research Scholar Program를 수행하는 것일까요?  연구(Research)란 하나의 과정이라는 결론에 .. 2024. 9. 19.
미국 대학 입시에 활용되는 Yield 미국 대학 입시에 활용되는 Yield  미국의 대학에 관련된 얘기를 할 때 간혹 “Yield”라는 말을 듣게 되는데 이것이 무엇인지 묻는 학생들이 있다. “올해 Harvard University의 Yield가 작년에 비해 조금 높아졌다고 하는데 이게 뭔가요?”라고 묻는다. 최근 Harvard University에서는 올 가을학기에는 2022-23 가을학기에 비해 소폭 상승하여 합격생 중 84% 이상이 등록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올 가을학기 총 54,008명이 Harvard에 지원하여 1,937명이 합격하여 3.59%의 경쟁률을 보였다. 작년보다 지원자가 다소 감소했지만 Harvard 역사상 가장 높은 85%의 Yield를 나타낸 2011년 이후 최고치에 해당하는 84%의 Yield를 보인 것이다.  대학.. 2024. 8. 9.
2024-25학년도 새 학기 준비와 학과목 선택 2024-25학년도 새 학기 준비와 학과목 선택  한국 학교들은 이제 겨우 여름방학이 시작되었는데, 벌써 새 학기를 준비해야 하냐고 반문할 지 모르겠다. 그러나 미국의 학교들은 대부분 6월 초에 방학을 시작하여 지금은 한창 방학을 즐기고 있을 때이다. 그런데 미국의 동부의 학교들은 9월 초에 개학하지만, 서부와 중부의 학교들은 8월 중순 혹은 말에 개학을 하고, 한국에 있는 국제학교들도 미 서부 학교들의 일정을 따르기 때문에 8월 중에 개학을 하게 된다. 따라서 8월 달이 시작되면 새 학기에 대한 마음가짐을 새롭게 하고 새 학기를 맞이할 준비에 돌입해야 한다.  지난 6월 초 방학이 시작될 때는 느긋하게 방학을 즐겨야 하겠다고 했을 지 모르겠지만, 막상 8월에 진입하여 개학이 가까이 다가오게 되면, 아쉬.. 2024. 7. 31.
Harvard와 Yale의 표준화시험 Test-Flexible Policy, 변경되는 ACT 시험 Harvard와 Yale의 표준화시험 Test-Flexible Policy변경되는 ACT 시험  지난 4월 Harvard University와 CalTech (California Institute of Technology)에서 2025년 학기 입학전형부터 표준화시험 점수 제출을 의무화하겠다고 발표했다. 앞에 언급한 필자의 칼럼에서 처럼, 표준시험 의무화 정책을 재도입한 것은 SAT, ACT 등의 표준화시험 점수가 학생이 대학에서 성공적으로 학업을 수행할지 여부를 비교적 정확하게 예측하는 도구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다는 것에 기인한다. 대학에서는 표준화 시험 점수를 제출하지 않더라도 불이익이 없을 것이라는 통지때문에, 많은 학생들이 지원에 도움이 될만한 시험 점수를 획득했음에도 불구하고 시험 점수를 제출하.. 2024. 7. 26.
변화된 Digital SAT 준비 변화된 Digital SAT 준비   조기 유학하여 미국 보딩스쿨을 다니고 있는 A군의 집은 대구이다. 하지만 대구보다는 서울의 강남에 SAT 학원이 모여 있기 때문에, A군은 방학 동안 강남의 오피스텔을 임대하여 SAT학원에 다니기로 했고, A군의 어머니는 A군을 돌봐 주기 위해 A군과 함께 살며 식사를 준비하며 라이드를 주고 있다. Pandemic이 끝나고 아직도 많은 대학들이 SAT Optional 정책을 펴고 있지만 소수의 명문대학에서는 SAT/ ACT 등의 표준화 시험 점수 제출을 의무화하고 있기 때문에 과거로 회귀하여 한바탕 SAT 전쟁을 치르고 있는 중이다.  수년 동안 대학입시 최전선에서 입시상황을 지켜보고 있는 카운슬러들은 SAT 제출이 필요한 조치라고 말한다. GPA의 인플레이션 현상이.. 2024. 7. 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