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lobalization2 세계화(Globalization)와 대미 관세 협상 세계화(Globalization)와 대미 관세 협상 나는 어릴 때 외국 사람들은 전부 미남 미녀인 줄로 착각했었다. 그런데 1980년대 미국과 유럽을 처음 가본 후 실망스러웠다. 못 생긴 사람이 너무 많았던 거다. 내가 어릴 적 1960년, 70년대 우리나라에서 외국인을 실물로 접했던 것은 한국에 파견된 Peace Corps 혹은 Mormon 선교사 정도였을 뿐, 외국인은 “주말의 명화”에 나오는 Alain Delon, Paul Newmon, Steve McQueen, Audrey Hepburn, Elizabeth Talyor, Vivian Lee 등 미남 미녀만 봤으니, 외국인의 미모에 대한 내 머릿속의 상상력만 자극되었기 때문이다. 대학을 졸업한 후 외국인 회사에 취업하여 1980년 초 본사 연수를.. 2025. 8. 7. 우리 아이 글로벌 리더로 키우려면? 해마다 한국 유학생은 폭발적으로 증가하는데, 왜 해외 굴지의 다국적기업이나 국제 기관의 글로벌 리더로 성장한 한국인은 이에 비례하여 증가하지 않는 걸까요? 다국적 기업의 핵심부에 입성하여 눈 부신 활약을 하고 있는 중국인, 유대인, 일본인, 인도인들은 많은데 비하여 한국인의 경우는 왜 그렇지 않은 걸까요? 단순히 영어를 이해하고 말할 수 있는 수준에서 벗어나 진정한 세계인을 육성하는 교육을 해야 하는데 그렇게 하지 못했던 것에서 연유한 것이 아닐까 추측합니다. 우리는 우리의 자녀를 세계인들의 사고 방식, 행동 양식, 생활 문화를 이해하는 진정한 Global Leader로 키우지 않았기 때문일 것입니다. “영미권의 서구인들은 자기 확신과 주장이 강하다”, “일본인들은 원칙을 고수한다”, “인도인들은 논리적.. 2009. 4. 3.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