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성적 평가와 미국 명문대 입시
Class of 2029 학생들의 2025년 가을학기 대학들의 Early Admission은 물론, Regular Admission까지 모든 결과가 발표되었다. 현재 11학년 학부모들이나 학교 관계자들은 12학년 학생들의 합격 상황을 분석하며 설왕설래한다. 최고의 대학에 합격시키기 위해 무엇을 어떻게 준비를 해야 하는지 알기 위해 안간힘을 쓰지만 다른 학생들의 에세이나 추천서 내용이 파악되지 못하여 스펙을 완전히 알지 못하기 때문에 당락의 원인을 분석하는 것은 불가능한 일이다. 더구나 대학은 Holistic Review라는 사정방식을 적용한다고 하니 합격한 학생과 동일한 스펙을 구성했다 할지라도 누구도 합격을 보장해 줄 수는 없다.
가끔 미국의 한인사회에 교포 학생이 Ivy League를 비롯하여 무려 열 댓 개의 학교에서 Admission Offer를 받았다는 기사가 실려 화제가 되 곤한다. 과연 하버드대, 예일대, 스탠퍼드대 등 최고 대학들은 이 학생의 원서에서 어떤 특별함을 보았기에 합격시켰을까? 혹은 우리 학교 최고 스펙을 가진 최고의 스타인 Valedictorian 학생은 왜 Ivy League 입학을 거부당했을까? 그렇다면 올 가을 명문대 입학을 앞두고 있는 합격자들에게 우리가 얻을 수 Insights는 무엇일까?
학업적으로 Rigorous한 학과목을 수강하여 훌륭한 성적을 내는 것은 기본에 기본이다. SAT와 TOEFL과 같은 표준화시험과 AP 혹은 IB에서 우수한 결과를 보여 주는 것이다. 지원료만 해도 $70-100 되는 명문대학에 아무나 지원하지 않는다. 지원자들은 모두 엄청난 학업 능력과 결과를 가지고 있는 학생들이다. 따라서 일단 우수한 지원자 풀에서 기본적인 경쟁력을 확보하려면 숫자싸움에서 밀리지 않아야 한다. 숫자는 쉽게 계산하고 비교할 수 있기 때문이다. 우선 정량적 평가에서 고지를 점령해야 한다는 뜻이다.
그러나 숫자에만 집중하는 우를 범해서는 안 된다. 숫자는 숫자일 뿐 숫자를 뛰어 넘는 그 무엇이 필연이다. 즉 숫자로 입증되는 미미한 차이는 당락을 결정하는 치명적인 요인이 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SAT 1530을 받은 학생이 50점을 더 받기 위해 11학년 여름방학을 하루 온 종일 아침 9시부터 오후 6시까지 학원 수업을 들어 소기의 목적을 달성하였으나, 아무런 특별활동을 할 수 있는 기회나 시간을 잃어서, 과외활동 난을 휑하게 비워 놓을 수밖에 없다고 한다면 이 친구의 운명은 어떻게 될까?
숫자로 평가되는 정량적 평가보다 더 중요한 것은 맥락과 내용까지 검토하는 정성적 평가이다. 정성적 평가는 수량화할 수 없어서 까다롭기 때문에 더 많은 노력과 전략이 필요하다. 과외활동을 통해 학생들은 자신만의 고유한 재능을 키우며, 리더십을 개발하고 증명할 수 있다면 정성적 평가에서 우수함이 평가될 수 있다. 과외활동은 무작위로 Ivy League 합격했다는 학생의 경로를 따라 이런저런 활동을 하는 것보다 입학사정관들에게 학생의 고유한 모습을 보여주고 더 큰 인상을 심어주는 것이 필요하다. 중요한 것은 학생이 특정 과외활동에 얼마나 많이 참여했는가 보다 는 과외활동이 자신의 인생과 가치관에 얼마나 의미가 있었는지 사정관에게 어필하는 것이다.
아이비리그를 포함한 최고의 대학들이 가장 중요하게 보는 것이 무엇인지 이해한다면 분석이 한결 쉬워진다. 합격생의 학업적 성취 및 과외활동 참여에 대한 전체적 맥락, 그리고 이 모든 퍼즐이 종합적으로 캠퍼스와 그 이후 학생의 미래에 대해 시사하는 것, 바로 이것이 최고의 대학이 찾는 것이다. 다음은 세쿼이아 그룹에서 제공하고 있는 다양한 특별활동 프로그램이다.
Ø Research Scholar Program 논문 작성
Ivy와 Oxbridge에서 박사를 마쳤거나, 박사과정 중에 있는 멘토와 1:1로 연결하여 관심있는 토픽의 논문을 작성하여 권위있는 유명 Journal에 논문을 출판합니다. 우수 논문의 경우 UCSD, UCI의 교수의 심사를 통하여 UC 계열 대학의 College Credit 3학점을 부여 받습니다. 논문에 따라 Essay Competition이나 과학 경시대회에 출품합니다. 한 편의 논문 작성으로 논문 출판, 학점 취득, 경시대회 수상이라는 세 마리의 토끼를 잡을 수 있습니다.
Ø Virtual Internships 비대면 인턴십
논문 작성이 이론 습득이라면 관심 분야의 현장에서 인턴십을 수행하는 것은 현장 경험의 획득으로 이론과 경험을 합친 완벽한 스토리를 구성할 수 있습니다. 다양한 분야, 다양한 나라, 다양한 회사에서 인턴으로서 현장에서 주어진 Task를 실행합니다. 학생에게는 Mentor가 임무 수행에 대한 조언과 지도를 통하여 성공적으로 인턴을 마칠 수 있게 하며 Internship Certificate, Weekly Work Log, Progress Report와 함께 요청 시 Boss로부터 추천서를 받을 수 있습니다.
Ø Global Youth Forum 글로벌 포럼
2달간 일 주일에 한 번씩 전 세계 학생들이 비대면으로 만나. UN에서 발표한 UN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지속가능발전목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함께 논의하고 이에 대한 결론이나 해답을 도출하여 공동 리포트나 논문을 작성합니다. UN SDGs는 2030년까지 인류의 보편적 문제, 지구 환경문제, 경제 사회문제 17가지를 주 목표로, 169개를 세부목표로 이행하는, UN에서 선정한 국제적 공동목표를 말합니다. 4명의 학생이 그룹을 이루어 토론을 거쳐 논문을 작성하고 이를 출판하며 우수한 논문은 시상을 하게 되고 인터십의 기회도 주어집니다.
Ø VentureX Global Challenge 스타트업 챌린지
전 세계 고등학생들이 가상세계에 모여 실제 아프리카 소재 스타트업 회사들의 실제 문제를 해결하는 비즈니스 모델 경진대회입니다. 사회적 가치 (Social Impact), 지속가능성 (Sustainability), 보건, 교육, 환경 등 공공적 문제 해결을 주요 평가 기준으로 삼아 사회적 가치 창출을 목표로 사회 문제를 해결하도록 합니다. 학생들에게 대회를 통해 창의적 문제 해결 능력, 글로벌 네트워크, 실제 기업의 현장을 경험하게 됩니다. Ivy League, Bain, McKinsey, BCG 출신 전문가의 멘토링을 기반으로 100개 이상의 학교, 13개국 이상의 학생들과의 협업과 글로벌 네크워킹읕 통해 스타트없 경연대회를 개최합니다. 참가학생 전원에게 인증서 제공, 수상자에게 상장, 멘토의 추천서 제공하며 인턴십에 참가할 수 있습니다.
Summer Programs 서머 프로그램
Ø Rigorous Pre-College Program at Ivy & Oxbridge
Ivy나 Oxbridge의 교수들에게 대학 1.2 학년 수준의 과목을 수강하여 심화된 학문적 역량을 보여줍니다. Ivy League 혹은 일부 명문대학교의 College Credit을 받습니다.
Ø Prism: Discover Your Spectrum
미래 전공 적성을 아직 발견하지 못한 학생들이 영국의 UCL에서 15개 분야의 전공 탐색을 하는 Summer Program입니다. 탐구 기반 진로 체험 및 전공 입문 세미나, 현장 업계의 유명 인사들과 미팅에 의한 네트워킹을 할 수 있도록 했습니다.
Ø Global Citizenship Expedition
문화 몰입과 봉사활동 중심의 해외 체험 프로그램으로 지구촌 시민의식(Global Citizenship)을 배우는 탐험형 프로그램입니다. 전 세계를 배경으로 한 청소년 리더십 개발, 문화 체험, 봉사활동, 여행 등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 세쿼이아 그룹에서는 미국 대학 입시를 목표로 하는 학생을 위한
다양한 특별활동 (Extra-curricular Activities)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상담이 필요하신 학부모나 학생은 아래 연락처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세쿼이아 그룹
02-569-5433 / soojin@seqgroup.com
parkyounghee.tistory.com
'대학 > 미국' 카테고리의 다른 글
Columbia University의 반이스라엘 시위와 학생 비자 취소 (0) | 2025.05.19 |
---|---|
NACAC가 발표한 2025년 지원 가능한 미국 대학교 리스트 (0) | 2025.05.14 |
미국 명문대 진학 전략과 성공 로드맵 6. 대학 입학 사정관의 평가 기준 (0) | 2025.05.13 |
미국 명문대 진학 전략과 성공 로드맵 5. 전공 선택, 감이 아니라 데이터로 (0) | 2025.05.13 |
미국 명문대 진학 전략과 성공 로드맵 4. 11~12학년: 본격적인 입시의 시작 (0) | 2025.05.12 |
미국 명문대 진학 전략과 성공 로드맵 2. 입시 경쟁의 실체와 전략 (0) | 2025.05.09 |
미국 명문대 진학 전략과 성공 로드맵 1. 미국 명문대, 왜 여전히 뜨거운가? (0) | 2025.05.09 |
Sneak Peek 2026-2027 Common App 에세이 주제와 에세이 작성 Tips (0) | 2025.03.04 |
미국 대학에 11학년만 마치고도 지원할 수 있는가? (0) | 2024.11.28 |
미국의 Liberal Arts College란 무엇인가? (0) | 2024.11.27 |